본문 바로가기

역사 관련

1945년, 35년 암흑의 터널을 벗어난 '광복(光復)'과 민족 분단의 시작

반응형

1945년, 35년 암흑의 터널을 벗어난 '광복(光復)'과 민족 분단의 시작

 

수많은 시련을 이겨낸 대한민국의 역사적 사실 관계

 

1945년은 우리 민족에게 가장 격렬하고도 희망찬, 동시에 비극적인 역사가 교차한 해입니다.

 

35년간 이어진 일제의 식민 통치라는 기나긴 암흑의 터널을 벗어나 빛을 되찾은(光復) 해였지만, 동시에 외세의 개입으로 민족의 운명이 둘로 갈리는 분단의 비극이 시작된 해이기도 했습니다.

 

이 해에 일어난 주요 사건들을 통해, 해방 직후 혼란 속에서도 자주독립 국가를 세우려 했던 우리 민족의 역경 스토리를 되짚어보고자 합니다.


1945년, 35년 암흑의 터널을 벗어난 '광복'과 민족 분단의 시작

✅ 시대별 역사적 상황: 태평양 전쟁의 종식과 해방

1940년대 후반은 일본 제국주의가 일으킨 태평양 전쟁이 막바지로 치닫던 시기였습니다.

전쟁의 막대한 물자와 인력 수탈 속에서 우리 민족은 징용, 징병, 학도병 등으로 끌려가 극한의 고통을 겪었습니다.

그러나 국제 정세는 연합국 측으로 기울고 있었고, 1945년 8월, 미국이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을 투하하며 일본은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게 됩니다.

 

1945년 8월 15일 정오, 일왕의 항복 방송과 함께 우리는 '해방'을 맞이했습니다.

거리로 쏟아져 나온 사람들은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며 환호했고, 이 기쁨은 35년 식민지배의 억압을 뚫고 터져 나온 민족의 역경을 이겨낸 정신의 표출이었습니다.



🔥 역경 스토리: 자주적인 국가 건설의 열망

해방이 되자마자 조선총독부는 치안 유지를 명분으로 여운형 선생을 중심으로 한 조선인들에게 행정권을 이양하려 했습니다.

여운형 선생은 곧 조선건국준비위원회(건준)를 조직하여 전국적인 행정 조직과 치안대를 결성하고, 빠르게 혼란을 수습하며 자주적인 국가 건설의 기틀을 마련하려 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우리 민족이 단순히 타의에 의해 해방된 것을 넘어, 오랜 독립운동의 염원을 바탕으로 주체적인 국가를 세우고자 했던 강력한 열망을 보여줍니다.

 

해외에서 독립운동을 이끌던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김구, 이승만 등) 또한 귀국을 서두르며 새로운 나라의 청사진을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해방은 도둑같이 뜻밖에 찾아왔다. 그럼에도 기뻤다. 얼마 안 가, 일제의 35년 압제에서 벗어났다는 기쁨이 반도 전체로 퍼졌다."
— 함석헌 선생의 해방 직후 회고


💔 주변 국가와의 갈등 및 핍박: 38선과 분할 점령

해방의 기쁨은 오래가지 못했습니다.

일본군 무장 해제라는 명목 아래 미국과 소련이 한반도를 분할 점령하게 되면서, 북위 38도선이 그어지고 말았습니다.

9월 8일 미군(존 리드 하지 중장)이 인천에 상륙하여 38선 이남에 군정을 선포하고, 이미 8월부터 북진했던 소련군은 38선 이북을 점령하며 군정을 실시했습니다.

 

38선 분할 점령은 이후 6.25 전쟁과 현재까지 이어지는 민족 분단의 결정적인 시발점이 되었습니다.

우리의 의지와 무관하게 외세에 의해 국토가 양분되고, 이념의 대립이 격화되면서 새로운 비극의 서막이 열린 것입니다.

"분단의 힘은 우리 내부가 아니라 외부에서 왔다. 분단은 일본군의 무장해제를 위해 그어진 38선과 그것을 경계로 한 미소의 분할점령에서 시작되었다."


📜 잘 알려지지 않은 비하인드 스토리: 국내 진공 작전의 좌절

많은 이들이 광복을 연합국의 승리에 따른 '해방'으로만 기억하지만, 우리 민족 또한 조국의 독립을 위해 치열하게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한국광복군은 1945년 7월, 미군 OSS(전략사무국)와 연계하여 '국내 진공 작전'을 결정하고, 이범석 장군을 총지휘관으로 하여 국내 주요 도시 진입을 코앞에 두고 있었습니다.

 

만약 이 작전이 실행되었다면, 우리는 연합국의 도움뿐 아니라 우리 스스로의 무력으로 조국을 해방시켰다는 역사적 정통성을 확보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8월 15일 일본의 갑작스러운 항복으로 작전은 실행되지 못했고, 자주적인 독립의 빛이 바래는 아쉬움을 남겼습니다.

이 점은 우리가 단순한 수혜자가 아닌, 독립을 위한 능동적인 투쟁자였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실입니다.

 

"우리는 임시정부로서 정식으로 환국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 자격으로 고국에 돌아간다."
— 1945년 11월 23일, 김구 주석이 임정 요인들과 함께 귀국하며 남긴 말


✨ 현재까지 발전의 역사적 배경

1945년 해방 직후의 혼란은 극심했습니다.

식량 부족, 실업자 증가, 그리고 이념 대립으로 인한 혼란은 곧이어 한국 전쟁으로 이어지는 고난의 배경이었습니다.

그러나 해방 당시 조선건국준비위원회와 같은 자발적 민간 조직의 활동, 그리고 해외 독립운동 세력의 귀국은 새로운 국가 건설을 위한 민족적 역량이 존재했음을 증명합니다.

 

이러한 자주 독립의 정신과 어떤 역경에도 굴하지 않는 '백절불굴(百折不屈)'의 의지는 이후 한국 전쟁의 폐허를 딛고 일어선 '한강의 기적'으로 이어지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1945년의 희망과 좌절은, 오늘날 우리가 이룩한 자유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을 지탱하는 가장 중요한 역사적 배경인 것입니다.

반응형